김영하 작가의 동명소설로 제작된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에 대한 줄거리 및 결말과 원작과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목 : 살인자의 기억법
개봉 : 2017년 9월 6일
감독 : 원신연
출연 : 설경구, 김남길, 설현, 오달수 외
줄거리 및 결말
어린 시절 병수(설경구 배우)는 아버지에게 당한 아동 학대를 참지 못하고 아버지를 살해합니다. 그 뒤로 병수가 생각하기에 살아도 의미가 없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을 청소하기로 마음먹고 스스로 살인자가 되어 사람을 죽이다 교통사고를 당한 병수는 더 이상 살인을 하지 못하고 시골에서 동물병원 의사로 일하며 딸 은희(설현 배우)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그러다 교통사고의 후유증으로 병수는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게 되고 그 소식을 들은 은희는 병수에게 녹음기를 주며 일상을 전부 녹음해서 기억하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 후 병수는 교통사고를 내게 되고 충돌로 인해 상대편 차량의 트렁크가 열리고 그 안에 가방에서 붉은 액체가 떨어지는 걸 보고 직감적으로 피라는 걸 알게 됩니다. 그리고 사고가 난 운전자에게 피에 대해 물어보지만 운전자는 동물의 피라고 이야기하고 결국 각자 수리를 하기로 하고 자리를 떠나게 됩니다. 병수는 동물병원으로 돌아와 손수건에 뭍은 피를 검사했으나 동물의 피가 아니라 사람의 피라는 걸 확인 후 운전자가 살인범이라 의심을 합니다. 며칠 후 은희의 남자 친구인 경찰관 태주(김날길 배우)를 만나게 되고 자신과 교통사고가 났던 운전자라는 걸 알고 태주를 경계하기 시작합니다. 결국 병수는 태주를 죽이고 완전히 기억을 잃게 됩니다. 병수가 태주를 죽임으로 인해서 둘의 죄가 세상에 전부 드러나게 되는데요 결국 병수는 치료감호소에 들어가는 모습으로 영화는 끝이 납니다.
등장인물
1. 기억을 잃어가는 연쇄살인마 김병수 역할로 나오는 설경구 배우는 1967년생으로 영화 박하사탕으로 얼굴을 알리기 시작해 다양한 영화에 출연하며 연기력이 입증된 배우입니다. 소설에서 병수는 70대의 노인으로 나오지만 영화에서는 태주와의 긴장감을 살리기 위해서 50대로 나오게 됩니다.
2. 새로운 연쇄살인범 민태주의 역할은 김남길 배우가 연기했는데요. 김날길 배우는 1980년생으로 1999년 KBS 드라마 '학교'로 데뷔했습니다. 국내에서는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비담'의 캐릭터로 스타덤에 오른 배우이며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3. 병수의 딸인 김은희 역할은 가수 겸 연기자인 김설현 배우가 연기를 했습니다. 1955년생으로 걸그룹 AOA로 데뷔와 동시에 2012년 KBS 드라마 '내 딸 서영이'에서 서은수 역할로 출연하며 배우로 데뷔하게 됩니다. 연기 초반에는 연기력 논란이 많이 있었지만 살인자의 기억법에서는 대 배우 사이에서 나름 연기를 잘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4. 주인공 병수의 친구 안병만 역할은 오달수 배우님이 연기를 했습니다. 연극배우로 활동하다 2002년 영화 '해적 디스코 왕 되다'로 스크린에 데뷔하는데요 오달수 배우님이 나오는 영화 대부분이 천만 관객을 돌파하며 천만 요정이라는 수식어를 가지고 있을 만큼 명품조연배우입니다.
원작과 차이 및 평점
김영하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된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은 '용의자', '세븐 데이즈' 등을 연출한 원신연 감독의 작품입니다. 원신연 감독은 액션 연출을 잘하는 감독으로 유명하지만 이번 영화에서는 심리묘사에 집중한 연출을 했습니다. 기존에 원작인 소설이 워낙 인기가 많았기 때문에 개봉 전부터 우려 섞인 말들이 들리긴 했지만 소설과 영화를 모두 본 사람들의 반응은 그래도 잘 만들었다고 평하고 있습니다. 소설과 비교를 하면서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찾는 재미가 있는데요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주인공 병수의 살인의 이유입니다. 원작에서는 아무 이유 없이 살인을 저지르고 다음번에는 더 잘하겠다는 마음으로 단순히 쾌락을 위한 살인을 저지르지만 영화에서는 죽어도 되는 쓰레기 같은 사람들을 청소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살인을 저지릅니다. 영화는 개봉 후 3개월 정도 지나 감독판을 공개했는데요 감독판은 청소년 관람 불 과로 극장판보다 10분 정도 더 장면이 추가되었으며 결말이 전혀 다르게 개봉되었습니다. 영화는 네이버 영화에서 3,360명의 관람객 평점으로 8.17을 기록하고 있으며 다음 영화에서는 1,802명의 네티즌 평점으로 7점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개봉 당시 경쟁작이 없어 1~2주간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며 손익분기점을 넘겼습니다.
댓글